1.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이란 화물을 일정한 표준 중량으로 단위화시켜 기계를 이용한 하역 및 운반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입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은 하역작업의 기계화를 통한 신속한 하역작업, 자동화를 통해 운송 작업의 합리화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은 팔레트(pallet)와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화물 운반의 규격화, 표준화를 추구합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을 이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정부, 기업 단위의 합리화와 관련 법규 제정, 서비스 구축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로 수송 장비의 규격을 표준화시키고 포장단위의 치수를 표준화 시켜야 합니다. 다음으로 하역의 기계화와 자동화가 선제 되어야 합니다. 네 번째로 팔레트(pallet)와 컨테이너의 표준화가 필요합니다. 또한 하역 장비와 창고보관 설비 또한 표준화, 규격화되어야 합니다. 그 외에도 거래단위의 표준화 등이 있습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이 도입된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철도, 항공, 해상 운송 등의 발달로 국제무역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수출 및 수입할 때 물류 관련 기기가 기업별 제품에 따라 달라 하역 작업이 기계화, 자동화가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대내외적으로 물류기기와 하역기기의 단일화, 표준화, 규격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스템 구축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류의 효율화를 위해 운송과정이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느껴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이 추진되었습니다.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이 도입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하역 작업 효율성 증대입니다. 사람의 노동으로 이루어졌던 하역 작업이 기계화, 자동화되면서 작업 중량 증가, 작업 속도 증가, 작업 시간 단축 등을 가져옵니다. 또 표준화된 작업 방식으로 관리가 용이합니다. 업무의 매뉴얼화가 가능합니다.
2. 하역기기와 운반기기
기계를 이용하여 하역이 필요한 화물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무거운 무게의 화물, 액체나 가스 등 사람이 취급하기 곤란한 화물, 대량 해상운송 화물, 사람이 하역했을 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화물, 보관 장소가 높거나 낮아 상차 및 하차 작업이 곤란한 화물, 취급에 주의가 필요한 화물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하역기기나 운반기기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하역기기나 운반기기를 선정할 때는 먼저 화물의 특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중량과 크기, 화물이 어떤 형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운반 및 하역 작업의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작업이 얼마만큼 하는지, 운반 거리는 얼마나 걸리는지 등을 파악해야 하며 작업장은 어떤 높이에 있는지 공간은 넓은지 구조는 어떠한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주요 운반 및 하역 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지게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게차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모양에 따라 구분이 되는데, 스트래들 리치 지게차(Straddle reach fork lift truck), 리치 포크 지게차Reach fork lift truck), 탑 핸들러 지게차(Top handler fork lift truck), 세 방향 지게차, Walkie형 지게차, 리치 스태커 지게차(Reach stacker fork lift truck), 사이드 포크 지게차(Side fork lift truck), 카운트 밸런스 지게차(Counter balanced fork lift truck)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Attachment(어태치먼트)는 특수한 작업환경에 사용되는 것으로 램(Ram), 크레인 암(Crane arm), 힌지드 포크(Hinged fork), 덤핑 포크(Dumping fork), 포크 포지셔너(Fork positioner), 로드 스태빌라이저(Load stabilizer), 클램프(Clamp), 퍼니스 차저(Furnace charger) 등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보관 랙(Rack)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랙(Rack)이란, 화물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철제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팔레트(pallet)에 쌓아 올린 물품 그대로 보관하는 팔레트 랙(Pallet rack)이 있습니다. 팔레트 랙(Pallet rack)은 화물을 팔레트 위에 쌓아 올렸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화물도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닥면적이 넓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다음으로 드라이브 스루 랙(Drive through rack)입니다. 지게차가 랙(rack)의 양방향으로 들어갈 수 있게 출입구를 만들어 놓은 것으로 좁은 장소에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같은 종류에 물품을 보관할 경우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드라이브 스루 랙(Drive through rack)과 비슷하지만 한쪽에만 지게차 출입구를 둔 것을 드라이브 인 랙(Drive in rack)이라고 합니다. 선입선출이 불가능하고 안쪽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계절성 제품 같은 물품을 보관하거나 좁은 통로의 창고일 경우 효율성이 높습니다. 다음으로 선반이 앞 또는 뒤 방향으로 꺼내지는 장치를 가진 랙(rack)을 박스 슬라이딩 랙(Box sliding rack)이라고 합니다. 레일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직선으로 수평 이동 되는 랙(rack)을 모빌 랙(Mobile rack)이라고 합니다. 피킹 작업 시 피커를 고정하고 랙 자체가 회전하는 랙을 회전 랙(Carousel rack), 캐러 셀 랙이라고 합니다. 특수한 형태의 화물을 보관하는 특수 랙, 좁은 통로에 높게 적재하는 하이 스택 랙(High stack rack), 외팔 지주 걸이 구조의 기본 프레임에 암(arm)을 이용하여 화물을 보관하는 암 랙(Arm rack), 랙의 격납 부분에 롤러 컨베이어 등과 같은 장치를 부착하여 보관하는 슬라이딩 랙(Sliding rack 또는 Flow rack) 등이 있습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9] 항만하역과 항공하역, 물류포장 (0) | 2023.04.04 |
---|---|
[물류관리사-8] 컨테이너와 크레인, 철도하역 (0) | 2023.04.02 |
[물류관리사-6] 하역과 팔레트의 정의, 기능 (0) | 2023.03.26 |
[물류관리사-5] JIT 시스템, MRP 시스템, VMI 시스템 (0) | 2023.03.23 |
[물류관리사-4] 구매 관리와 재고 관리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