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

[물류관리사-9] 항만하역과 항공하역, 물류포장

by h2ing 2023. 4. 4.
반응형


1. 항만하역


 국제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항만하역의 비중이 늘고 있습니다. 항만시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항만시설에는 크게 부두, 에이프런, 컨테이너 야드, 잔교, 마샬링야드 등이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부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두(Wharf)는 항만 내에 있는 시설입니다. 화물의 하역 및 승선, 하선을 위해 장치된 시설을 말합니다. 에이프런(Apron)에 대해 알아보기 전 안벽(Qu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벽(Quay)은 운하와 인접해있는 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해저로부터 수직으로 만들어진 벽을 말합니다. 에이프런(Apron)이란 안벽(Quay)에 접한 부분에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뻗어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 에이프런(Apron)의 폭은 30m~50m 정도입니다. 다음으로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입니다. 컨테이너 야드는 줄여서 CY라고도 부르며, 화물이 적재된 컨테이너의 인수 및 저장을 위한 장소입니다. 잔교(Pier)는 교량형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써 화물의 하역과 승선 등을 위한 구조물입니다. 마샬링 야드(Marshalling yard)는 선적할 컨테이너가 대기하는 장소로 에이프런(Apron)과 인접해있습니다. 선석(Berth)은 선박을 항구에 매어두는 시설을 갖춘 장소를 말합니다. 항만하역의 작업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선내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본선 내 화물을 부두에 내려놓는 양하(Unload) 작업 후 적하(Stowage of cargo)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다음으로 무동력선 양륙 작업 및 무동력선 적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육상 작업인 출고를 위한 짐 싣기 등이 이루어집니다. 그렇다면 항만 운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컨테이너 전용선의 적재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컨테이너 전용선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방식에는 LO-LO 방식(Lift On-Lift Off system)과 RO-RO 방식(Roll On-Roll Off system), FO-FO 방식(Float On-Float Off system)이 있습니다. 먼저 LO-LO 방식은 갠트리 트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하역하는 방법입니다. RO-RO 방식은 견인차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하역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FO-FO 방식은 컨테이너를 부선에 적재하여 부선에 설치된 장비를 이용하여 하역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로드 트랙터나 로드 섀시 (Chassis)를 이용하여 하역하거나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로 운반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지게차를 이용하거나 트랜스퍼 크레인을 이용한 트랜스테이너 (Transtainer) 방법이 있습니다. 


2. 항공 하역


 고가의 물품이나 긴급한 운송이 필요한 물품의 경우 항공기를 이용하여 운반합니다. 비싼 운임이라는 단점이 있으나 운송 시간 단축 등 장점을 가지고 있는 운송방식입니다. 항공기를 이용한 운송 시 하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항공 화물 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공화물 실에는 Deck, Hold, Compartments, Section, Bay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음으로 항공기 팔레트 하역 장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트랜스포터(Transporter)가 있습니다. 트랜스포터는 ULD(적재 용기)를 터미널에서 항공기까지 이동할 때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이때 트랜스포터는 수평 이동하여 운반합니다. 다음으로 터그 카(Tug car)입니다. 돌리는 연결하여 이동하는 차량으로 트랙터(Tractor)라고도 부릅니다. 다음으로 돌리(Doll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돌리(Dolly)는 터그 카에 부착되는 장비로 팔레트를 싣는 장비입니다. 그 밖에도 하이 리프트 로더(High Lift Loader), 이글루(Igloo) 등이 있습니다. 
 항공 운송에 쓰이는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피그 펜(Pig pen)은 화물을 싣는 용기를 말합니다. ELV(Elevator)는 상하로 이동하는 장비를 말합니다. 그 밖에도 TV(Transfer Vehicle), BUC(Build Up Cargo) 등이 있습니다.


3. 물류 포장


 물류 포장은 화물의 품질, 상태 보관을 위한 행위입니다. 또 포장은 해당 상품의 상품 정보, 취급 주의사항 등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포장은 포장 형태에 따라 낱포장, 속포장, 겉 포장으로 나누어집니다. 포장 재질에 따라 분류하면 강성포장, 반 강성 포장, 유연포장이 있습니다. 포장 디자인은 선, 형태, 적재의 요소가 주요 요인입니다. 화인은 화물의 취급표시를 말하는 것으로 스탬핑(Stamping), 카빙(Carving), 레이블링(Labeling), 태그(Tag), 스티커(Sticker), 스텐실로 표기합니다. 화인의 종류로는 주 표시, 부표시, 품질표시, 상자번호 등이 있습니다. 위험물을 포장할 때는 위험물 표시를 부착하여야 하고 포장재가 위험물과 반응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해야 합니다. 또 충격에 민감한 경우를 대비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포장재 중 결속재는 밴드, 철대, 테이프, 완충재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