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물류관리사-20] 화물자동차 운송의 개념과 이해 1. 화물자동차의 운송 화물자동차를 이용한 운송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육로로 운송합니다. 국제 운송의 발달, 전자상거래의 발달 등으로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화물자동차는 각종 운송 수단 간 연결해주고 고객의 집까지 운송하는 문전운송(Door to door)이 가능합니다. 소량, 경량의 화물 운송이 가능합니다. 단거리나 중거리일 경우에 적합한 운송방식입니다.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쉬우며 신속한 운송이 가능합니다. 다빈도 소량 운송이 가능하여 택배 운송에 유리합니다. 화물자동차 운송의 장점은 문전운송(Door to door)이 가능하고 중·단거리 운송에 적합하며, 신속한 운송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차, 운임, 물량 .. 2023. 5. 30.
[물류관리사-19] 바코드와 RFID, 2차원 바코드 1. 바코드 바코드는 GTIN(Global Trade Item Number)으로 표준상품식별 코드를 뜻합니다.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표시하는 코드를 말합니다. 바코드는 상품관리를 전산(컴퓨터)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흰색, 검은색의 막대 모양으로 표시해 놓은 기호입니다. 보통 바코드는 POS 시스템, 입출고, 재고 등에 사용됩니다. 바코드는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빠르게 입력되면서 수집도 간편해집니다. 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고 오류가 감소합니다. 표시가 간편하고 제작 및 관리가 편하여 유지가 편합니다. 그러나 바코드는 변경 불가능하고 쓰기 또한 불가능합니다. 바코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POS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별코드로는 GTIN-8.. 2023. 4. 27.
[물류관리사-18] 물류정보시스템과 EDI, VAN, LAN에 대한 이해 1. 물류정보시스템 물류정보시스템을 알아보기 전 물류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류정보는 하역, 포장, 운송 등 물류 기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data)를 말합니다. 물류정보는 정보의 양이 많고 물류 흐름과 정보 흐름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정보의 양이 많고 내용도 다양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광역으로 발생하는 정보로 물류 정보와 작업이 일치하지 않으면 업무처리가 늦어집니다. 물류정보의 종류는 화물 운송정보, 화물 통관정보, 항만정보 등이 있습니다. 화물 운송정보는 화물을 실은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공차율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화물 통관정보는 수출입, 관세 등이 포함된 정보라고 합니다. 그 밖에도 항만관리정보, 화주의 이름, 연락처 등을 포함한 화주 정보가 .. 2023. 4. 20.
[물류관리사-17] TOC, CALS, ERP, BPR에 대한 이해 1.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TOC(Theory Of Constraint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약을 없애는 것을 말합니다. 제약을 없애야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골드렛 박사가 제안한 이론입니다. 기업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를 명목(Bottleneck)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병목(Bottleneck)을 생산관리에 활용하는 이론입니다. 병목을 찾아서 관리합니다. 가장 약한 부분 때문에 생산능력이 결정됩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는 산출(Throughput)의 증대에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영비용과 재고 .. 2023. 4. 17.
[물류관리사-16] 포장의 기능과 종류, 취급주의표시 1. 물류 포장 물류 포장은 제품을 보호하고 취급을 편리하게 하는 물류 활동입니다. 제품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취급 방법, 판매를 촉진하는 기능을 합니다. 포장 작업은 하역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포장의 종류는 단위 포장(낱 포장), 내부 포장(속 포장), 외부 포장(겉 포장)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단위 포장(Item Packaging)을 뜻하는 낱 포장은 제품 하나씩 포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제품의 정보를 전달합니다. 제품의 특징에 따라 용기나 포장 재료를 선택합니다. 내부 포장(Intermediate Packaging)을 뜻하는 속 포장은 포장된 제품의 내부 포장을 말합니다. 제품의 열 차단, 습기 방지, 충격 보호를 위해 포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3. 4. 15.
[물류관리사-15] 물류 합리화와 물류 표준화에 대한 이해 1. 물류 합리화 물류 합리화는 원자재의 수급부터 제품 판매까지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물류 합리화는 현재 물류 업무를 신속(Speed), 정확(Surely), 안전(Safety), 저렴(Low)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물류 합리화는 낭비 요소를 제거하여 물류비 절감을 통해 상류 합리화에 기여합니다. 비용을 투자하는 것이 아닌 관리 방식을 개선하여 물류비 절감을 유도합니다. 물류 활동의 각 부분을 조절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합니다. 판매 활동은 소비자의 만족을 위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물류비용의 절감을 통해 “제3의 이익원”으로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류 합리화 방안을 분야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보관 분야입니다. .. 2023. 4. 14.
[물류관리사-14] 도매업자와 물류 회계, 물류비 계산 1. 도매업(Wholesaling) 도매업(Wholesaling)은 판매 대상이 최종 소비자가 아니라 소매상이나 다른 도매상 등에게 판매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도매업자는 생산자를 대신하여 다수의 소매업자에게 판매하고, 소매업자를 대신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외상 판매나 할부 판매를 지원하는 금융기능을 맡고, 생산자에게 상품을 대량 구매하여 보관했다가 소매업자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재고 보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업자를 대신하여 판매 활동을 하고 소매업자를 대신하여 상품을 매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매업자의 유형을 구분해보면 대리인과 브로커, 제조업자 도매업자 등이 있습니다. 도매업자 유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제조업자 도매업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조업자가 .. 2023. 4. 13.
[물류관리사-13] 유통경로의 이해와 소매업의 특징 1. 유통경로의 이해 유통경로는 제품의 생산부터 최종 고객에게까지 전달되는 단계를 말합니다. 물류는 생산과 소비자 사이의 시간적, 장소적 불일치를 해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통경로에는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 소비자 등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모든 경로를 거치거나 일부 경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형태도 있습니다. 유통경로의 효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통경로의 효용은 시간 효용(Time Utility), 장소 효용(Place Utility), 소유 효용(Possession Utility), 형태 효용(Form Utility)이 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시간 효용(Time Utility)은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장소 효용(Pl.. 2023. 4. 11.
[물류관리사-12] 물류 조직과 물류 마케팅에 대한 이해 1. 물류관리 조직 물류 조직이란 물류 활동을 관리하는 조직을 말합니다. 물류 조직은 기능형(직능형) 조직과 라인·스태프(Line·Staff) 조직, 사업 부형 조직, 그리드 조직이 있습니다. 물류 조직은 기능형 조직에서 라인·스태프 형 조직으로 발전했고, 다음으로 사업 부형, 그리드 형 조직으로 발전했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기능형(직능형) 조직은 라인(Line)과 스태프(Staff)가 분리되지 않은 형태를 말합니다. 물류 활동이 기본 조직 속에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물류 전문가 양성이나 전문화 추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고 경영자층에서 물류 조직이 별도로 필요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형태입니다. 다음으로 라인·스태프(Line·Staff) 조직은 기능형 조.. 2023. 4. 10.
[물류관리사-11] 물류의 전략과 시스템, 최근 경향 1. 물류 전략 물류 계획은 상위 의사결정의 영향을 받습니다. 물류 계획을 통해 물류비용 절감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고객 서비스 개선과 물류시스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물류 계획 수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전략적 계획입니다. 1년 이상의 장시간이 필요하며, 마케팅전략, 고객 서비스 요구사항, 공급업자 선정, 운송 수단, 물류센터 입지 등에 대해 계획을 세웁니다. 전략적 계획의 목적은 장기적인 생존 및 성장입니다. 장기적 계획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계획을 세우는 주체는 최고 경영자 또는 중간 관리자입니다. 전략적 계획은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전술적 계획입니다. 보통 1년 미만의 기간을 대상으로 계획합니다. 전술적 계획에 담고 있는 내용은 수요 예측, 생산 계획,..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