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TOC(Theory Of Constraint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약을 없애는 것을 말합니다. 제약을 없애야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골드렛 박사가 제안한 이론입니다. 기업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를 명목(Bottleneck)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병목(Bottleneck)을 생산관리에 활용하는 이론입니다. 병목을 찾아서 관리합니다. 가장 약한 부분 때문에 생산능력이 결정됩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는 산출(Throughput)의 증대에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영비용과 재고 감소를 추진하여 최대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산출(Throughput)의 증대라는 것은 제품 판매 비용에서 원가 비용을 수익을 최대화한다는 것입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는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산출(Throughput)은 기업의 현금 창출 정도를 나타냅니다. 재고는 재화에 투자된 자금을 말하고 운영비용은 재고를 산출(Throughput)로 바꾸기 위한 비용입니다. 산출 증가가 최우선이며, 기업의 모든 의사결정은 산출증대에 두고 결정 내립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으로 제약 요소를 파악합니다. 두 번째 파악한 제약 요소를 활용합니다. 다음 세 번째로 모든 의사결정은 제약 요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 내립니다. 다음 네 번째로는 제약 요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합니다. 마지막 다섯 번째로는 기존의 제약 요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제약 요소를 찾아냅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는 생산, 물류, 재무 분야에 의한 의사결정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TOC(Theory Of Constraints)는 SCM을 실행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2. 광속 상거래(CALS; Commerce At Light Speed)
CALS(Commerce At Light Speed)는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 과정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시간으로 디지털 정보를 관련 기업이 공유하는 시스템입니다. 컴퓨터망을 이용하여 관리하므로 대량의 자료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주부터 출하까지 관리합니다. CALS(Commerce At Light Speed)의 구성요소는 설계, 조달, 생산, 판매, 운용입니다. 설계는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 조달은 EDI, 생산은 JIT, 판매는 POS, 운용은 물류 시스템을 이용합니다. CALS(Commerce At Light Speed)는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표준화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입니다. 정보의 자동화, 전산화를 통해 원가 절감, 재고 감소 등 효과를 가지고 옵니다. 관련 기업 간 정보 공유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와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전사적 자원계획(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자금을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체 업무를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은 MRP(Material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이 발전되어 만들어진 시스템입니다. 기업의 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이 가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글로벌 환경에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생산, 판매, 재고 등의 업무를 상호 연동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업무와 자료를 표준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쉽게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합니다.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전반적인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수요 예측, 생산 계획, 재고 관리 등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4. 업무절차 혁신(BRP;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B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기업의 모든 활동을 프로세스 화하는 것입니다. 고객 만족을 중심으로 고객 만족 극대화와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B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기본 원칙은 동시 처리(Concurrent processing), 정보 기술 활용, 직무 통합이 있습니다. 최고 경영층을 중심으로 실시되는 것입니다. 고객의 만족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량적 평가과 정성적 평가를 배분하고 질적인 평가를 중시합니다. BPR(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기업 경영 방식을 바꾸고 수평적 구조로 바뀝니다. 구성원의 역할도 자율적인 형태로 바뀝니다. B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상당한 경영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19] 바코드와 RFID, 2차원 바코드 (0) | 2023.04.27 |
---|---|
[물류관리사-18] 물류정보시스템과 EDI, VAN, LAN에 대한 이해 (0) | 2023.04.20 |
[물류관리사-16] 포장의 기능과 종류, 취급주의표시 (0) | 2023.04.15 |
[물류관리사-15] 물류 합리화와 물류 표준화에 대한 이해 (0) | 2023.04.14 |
[물류관리사-14] 도매업자와 물류 회계, 물류비 계산 (0) | 2023.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