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코드
바코드는 GTIN(Global Trade Item Number)으로 표준상품식별 코드를 뜻합니다.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표시하는 코드를 말합니다. 바코드는 상품관리를 전산(컴퓨터)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흰색, 검은색의 막대 모양으로 표시해 놓은 기호입니다. 보통 바코드는 POS 시스템, 입출고, 재고 등에 사용됩니다. 바코드는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빠르게 입력되면서 수집도 간편해집니다. 정확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고 오류가 감소합니다. 표시가 간편하고 제작 및 관리가 편하여 유지가 편합니다. 그러나 바코드는 변경 불가능하고 쓰기 또한 불가능합니다. 바코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POS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별코드로는 GTIN-8, GTIN-12, GTIN-13, GTIN-14가 있습니다. 각 식별코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TIN-8은 비교적 작은 상품에 사용되는 바코드로 단축형 바코드입니다. GTIN-12는 UPC 바코드라고 하며 북미지역에서 사용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GTIN-13은 표준형 바코드를 말하는 것으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입니다. 마지막 GTIN-14는 박스 상품에 부착되는 식별코드를 말합니다.
2. 2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는 막대형 바코드에서 벗어나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대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에 의해서 4종이 KS로 제정되었습니다. 2차원 바코드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시키는 것으로 외국어, 문자, 사진 등의 정보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2차원 바코드는 매트릭스형 바코드(Matrix Bar code)와 다층형 바코드(Stacked Bar code)로 구분됩니다. 매트릭스형 바코드(Matrix Bar code)는 maxi code, QR 코드 등이 있습니다. 다층형 바코드(Stacked Bar code)는 code 49, coda block 등이 있습니다.
2차원 바코드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R(Quick Response) 코드는 신속한 판독을 위해 고안된 바코드입니다. PDF-417은 4개의 Bar와 4개의 Space로 구성되어있습니다.
3. ISBN(국제 표준 도서 번호;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은 도서에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말합니다. 국제적으로 표준화하여 출판물 관리 및 유통을 편리하게 합니다.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은 총 13자리로 구성됩니다. 맨 처음 세 자릿수는 접두부, 다음 두 자릿수는 국별번호, 다음 다섯자릿수는 발행자 번호, 다음 자릿수는 서명 식별번호, 다음 자릿수는 체크 기호, 마지막 다섯자릿수는 내용분류 표시)를 표시합니다. 국별번호는 국제 ISBN 관리기구에서 배정합니다. 발행자 번호는 한국 문헌 번호센터에서 배정합니다.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은 교과서, 만화 등과 같은 도서나 5~48페이지의 자료인 팸플릿 등이 대상으로 부여됩니다. 제외되는 대상의 출판물은 일기, 미술품, 지도, 낱장 자료 등이 있습니다.
4.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주파수 식별법입니다. Tag, 판독기, 안테나로 구성됩니다. Tag는 크기가 다양하고 상품에 부착되는 것입니다. IC칩과 안테나로 구성됩니다. 판독기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판독기는 태그와 안테나, 서버,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을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태그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판독기의 구성요소로는 안테나, 변조기, 복조기, 모듈 등입니다. 안테나는 판독기에 부착되어있는 것을 말합니다. 태그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수발신 기능을 가지고 통신이 가능하게 합니다. 무선주파수를 보내고 판독기로 전달합니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RFID는 송신 여부에 따라 분류합니다. 수신만 가능하고 송신 불가능한 수동형 RFID가 있습니다. 신호를 받을 때까지 작동하지 않는 반수동형 RFID가 있습니다. 가격이 고가이지만 도달거리가 넓고 일기 및 쓰기가 가능한 능동형 RFID가 있습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바코드보다 활용도가 높습니다. 원거리에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 다양한 사이즈로 만들 수 있어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변경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많은 양의 태그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원거리에서 판독기로 인식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판독 가능합니다. 장애물을 투과하여 판독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일부 장애물의 경우에는 인식률이 떨어집니다.
물류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활용도가 높습니다. 제품의 재고관리가 쉽고 분실 관리도 쉽습니다. 실시간으로 재고를 관리할 수 있어 안전재고를 감소시킵니다. 회수 물류에서도 쉬운 관리가 가능합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20] 화물자동차 운송의 개념과 이해 (0) | 2023.05.30 |
---|---|
[물류관리사-18] 물류정보시스템과 EDI, VAN, LAN에 대한 이해 (0) | 2023.04.20 |
[물류관리사-17] TOC, CALS, ERP, BPR에 대한 이해 (0) | 2023.04.17 |
[물류관리사-16] 포장의 기능과 종류, 취급주의표시 (0) | 2023.04.15 |
[물류관리사-15] 물류 합리화와 물류 표준화에 대한 이해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