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매관리의 정의와 목적, 기능
구매란 생산자가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나 부품 등을 조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매관리는 생산활동에 필요한 원재료 조달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공급 업체 선정에서부터 발주, 수령 등 전반적인 것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구매관리는 생산 활동에 필요한 원자재를 제품 생산 목적에 맞는 품질과 수량으로 적시에 공급받아 기업의 생산 계획을 달성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매관리의 기능은 구입 재료 관리, 공급업체 관리, 원가절감, 매입관리, 가격관리 등이 있습니다. 구매는 중앙집중구매와 분산구매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앙집중구매가 가능한 품목은 표준 품목, 수요가 높은 품목, 대량구매가 가능한 품목 등이 있습니다. 분산구매가 가능한 품목은 소모품, 구매업체 간 가격 편차가 없는 품목, 소량 구매 품목이 있습니다. 각각 구매 방법의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중앙집중구매 방식은 대량 구매를 통해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구매부서가 한 곳으로 구매 관리 업무의 전문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공급업체가 다양하지 않아 거래처와의 소통이 쉽고 상품 조달이 용이합니다. 분산구매의 장점은 부서별로 구매하므로 자율성이 높아집니다. 지역별 구매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한 수요가 생길 경우 인근 공급업체로부터 조달할 수 있어 중앙집중구매보다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중앙집중구매 방식과 분산구매 방식의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앙집중구매 방식의 단점은 부서별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긴급한 수요에 대응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한 내부적 절차가 있어 주문과 물품 조달 사이에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입니다. 부서별(공장별)에 별도 구매부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서별 특정 구매품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차이점을 간과하여 오발주 등 전문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분산구매 방식의 단점은 각 사업 부서별 구매로 인한 중복 업무 발생과 대량 구매가 불가능하여 구매 단가가 높아진다는 점입니다. 또 본사의 구매방침이나 규정과 다른 구매 관리로 인한 업무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부서별로 구매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이 존재하여 구매 업무의 인원이 많아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2. 재고관리의 정의와 목적, 기능
재고관리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고관리란 기업이 생산을 위해 보유하는 원자재, 부품 등의 재고를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고관리의 목적은 간단히 말하면 결품 방지와 비용 절감입니다. 장기 재고, 악성 재고를 줄여 재고비용을 절감하고, 적정한 재고를 보유하여 결품 방지 및 매출 확대 기회 창출이 주된 목적입니다. 그렇다면 재고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고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자재의 대량 구매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구매 단가 인하, 수송비 절감, 수급 불안정 예방 등 대량 구매는 다양한 이점이 있으므로 필요 수요량보다 많은 수량으로 구매하여 재고를 부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두 번째로 설계 변경이나 오류로 인하여 발생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매출 감소(수요 감소)로 인한 재고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미리 재고를 보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유 수량을 보유하여 매출 상승에 대비하는 경우입니다.
재고관리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고관리의 기능은 안전재고, 예비재고, 운송 재고, 계절성 재고, 투기성 재고, 진부화 재고가 있습니다. 안전재고(Buffer Inventory 또는 Safety Inventory) 기능은 판매 증가와 같이 수요가 급등할 경우를 대비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수요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매출 증대 효과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예비재고(Anticipation Inventory) 기능입니다. 이는 계절 상품과 같이 특정 기간에 판매되는 목적성 상품 수요를 대비하는 기능입니다. 다음으로 운송 재고(Pipe Line Inventory) 기능입니다. 이는 운송하고 있는 재고를 말합니다. 다음으로 계절성 재고(Seasonal Inventory)입니다. 목도리, 장갑, 수영복과 같이 특정 계절에만 팔리는 제품의 경우 미리 대비하여 축적하는데 이를 계절성 재고라고 합니다. 다음으로 투기성 재고(Speculative Inventory)로 가격 변동이 있는 상품을 미리 구매하여 이에 따른 차익을 얻거나 가격변동을 대비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진부화 재고(Dead Stock)로 수요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제품을 보유하는 것입니다.
안전재고수준의 의사결정 요소는 경쟁성, 서비스, 이윤, 대체성, 보관거점 수가 있습니다.
주문 수량 결정 기법에는 정량 발주 방법(Quantity-Q 발주법)과 경제적 발주량(Economic Order Quantity)과 경제적 생산량(Economic Production Quantity), 정기발주법(기간 발주 방법), Two-Bin 법, ABC 분석에 따른 방법이 있습니다.
수요예측 기법으로는 정성적 기법과 정량적 기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성적 기법으로는 델파이기법, 시장조사법, 역사적 유추법 등이 있습니다. 정량적 기법으로는 회귀분석, 시계열분석, 가중치 이동평균법, 단순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시계열 추세변화가 있습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6] 하역과 팔레트의 정의, 기능 (0) | 2023.03.26 |
---|---|
[물류관리사-5] JIT 시스템, MRP 시스템, VMI 시스템 (0) | 2023.03.23 |
[물류관리사-3] 물류단지의 정의, 목적, 기능 (0) | 2023.03.15 |
[물류관리사-2] 창고의 기능, 목적, 분류 (0) | 2023.03.12 |
[물류관리사-1] 보관의 개념, 주요 기능 (0) | 2023.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