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IT(Just In Time) 시스템
JIT 시스템은 일본 기업인 도요타에서 사용한 생산시스템(TPS)의 개념을 말합니다. JIT(Just In Time)의 단어 의미 그대로 ‘필요시 수요에 맞춰 공급이 가능한 적시생산방식’의 시스템을 말합니다. JIT(Just In Time)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공급을 받기 때문에 낭비 요인을 철저히 막는 시스템입니다. JIT 시스템은 Lean 생산 시스템으로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만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JIT 시스템은 수요에 따라 생산하므로 재고의 감소와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 Pull System으로 후순위 작업으로 물량이 빠진 만큼 생산을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JIT 시스템의 목표는 상품 제조의 리드타임 단축, 재고의 감소, 제조 준비시간 감축, 불량품의 최소화입니다. JIT 시스템은 라인 멈춤 예방을 위해 공급업체의 품질을 우선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협력 업체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중요시합니다. 장기계약을 맺거나 공급업체를 단일화하는 등 협력을 중요시하여 납품량과 납품 시간의 정확도를 높입니다. JIT 시스템은 생산에 따른 낭비 요인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불필요한 재고 보유량을 줄임으로써 낮은 비용, 높은 품질의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JIT 시스템의 단점 및 한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JIT 시스템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수량만 생산하므로 만약 제품의 불량이나 설계 변경 등의 사유로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JIT 시스템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생산관리체계가 확립이 되어있고 협력 업체와의 관계, 기술력, 평준화 생산이 가능해야 원활한 생산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소량 다빈도 배송으로 인한 운임 증가, 소(小) 로트화로 인한 비용 증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협력 업체의 관점에서는 적시 공급을 위하여 큰 비용, 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습니다.
JIT-Ⅱ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JIT-Ⅱ 시스템은 기존 JIT 시스템과 개념은 같습니다. 다만 수요처의 제품설계단계에 공급처 직원이 설계에 참여하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JIT-Ⅱ 시스템은 공급업체와 수요 업체의 중복된 업무 시스템 또는 기능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인력 감축 및 업무 효율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공급업체와의 우호적인 관계가 가능하므로 단가협상이 가능하고 신제품 생산 계획할 때 설계에서부터 생산까지 시간을 단축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수요 업체와 장기계약이 가능하고 신제품 설계 등 기술 개발을 통한 공존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2.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시스템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시스템은 자재소요계획을 말하는 것으로 제품의 생산계획에 따라 부품, 원자재 등의 소요에 대해 필요한 물품을 적시에 적정량을 구매하여 생산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재소요계획 시스템은 필요한 물품을 계획에 따라 주문 시기와 단가를 미리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경영자가 미리 자재소요계획을 사전에 확인하고 발주시기와 일정을 조절하기 용이합니다. 수요에 따라 주문을 변경하고 우선순위를 조절하여 조달 및 작업 진행이 가능합니다. 자재소요계획 시스템에 주요 입력 사항은 주 일정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 File), 자재명세서(BOM: Bill Of Materials), 리드타임(품목별, 업체별), 생산 로트 사이즈 등입니다.
MRP-Ⅱ 시스템(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은 제조자원계획을 말하는 것으로 재고관리, 생산 현장관리, 자재 소요량관리 등의 생산자원계획과 다른 여러 기능을 단일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MRP 시스템과의 차이점은 생산자원의 능력소요계획과 일정계획 수립 여부입니다. MRP-Ⅱ 시스템은 재무와 마케팅에서의 계획과 관리를 포함합니다.
3.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시스템
VMI(Vendor Managed Inventory) 시스템은 재고를 줄이는 기법으로 Vendor가 POS 매출량에 따라 유통업체와 구매자의 재고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공급업체가 수요 업체와 재고 정보를 공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VMI 시스템의 목적은 공급업체의 생산계획, 수발주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요 예측정보를 통해 적시에 적정량을 납품하고 공급업체와 수요 업체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재고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VMI 시스템은 공급업체의 생산 리드타임 설정하고 계약의 명확화, 정보 공유를 통한 신뢰성 향상과 협력이 중요합니다. 또 수요 업체와의 장기적인 계약을 통해 공급업체의 안정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또 과잉생산 방지, 납기지연 방지, 리드타임 단축이 가능합니다. 수요정보 공유를 통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므로 고객에 대한 마케팅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공급사슬 파트너 간 정보를 공유하여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공급과 재고 운용이 가능합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7] 유닛로드 시스템과 하역기기 (0) | 2023.03.30 |
---|---|
[물류관리사-6] 하역과 팔레트의 정의, 기능 (0) | 2023.03.26 |
[물류관리사-4] 구매 관리와 재고 관리 (0) | 2023.03.22 |
[물류관리사-3] 물류단지의 정의, 목적, 기능 (0) | 2023.03.15 |
[물류관리사-2] 창고의 기능, 목적, 분류 (0) | 2023.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