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

[물류관리사-1] 보관의 개념, 주요 기능

by h2ing 2023. 3. 9.
반응형

보관 하역론을 시작하기 위해 보관에 대한 개념부터 알아보자. 


1. 보관의 개념

 

보관이란 어떤 것을 말할까? 보관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맡긴 물건(제품)을 보존하고 잘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보관은 시간적인 효용을 창출하는 활동으로 재화의 생산과 소비 사이의 시간적 차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보관의 기능

 

그렇다면 보관의 주요 기능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재화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판매를 유도함으로써 생산과 공급을 조정하고 완충 역할을 한다. 물품(제품)이 생산될 때 원재료 및 부품 등을 적시에 공급하여 원활한 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물품이 판매될 시기에 수요에 따라 적시에 배송이 가능하게 하므로 판매 시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비용 절감 기능이다. 생산 비용과 수송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 보관은 수송과 배송 간의 윤활유 역할을 한다. 보관은 단순한 저장의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비용과 서비스의 trade-off(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전제로 한다. 보관은 소비 장소(판매 장소)와 제일 가까운 위치이며 고객서비스의 최전선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보관은 집산, 분류, 검사장소, 가공, 조립 등 역할을 수행한다. 보통 배송센터나 물류센터에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물류거점의 기능이 있다. 


3. 보관의 원칙 

 

그렇다면 보관의 기본 원칙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보관의 기본 원칙에 대해 알아보자. 보관은 총 10가지의 기본 원칙이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첫 번째로 통로 대면 보관 원칙이다. 창고 내에서 제품의 입고와 출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로 면에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창고 내 제품의 원활한 이동과 활성화를 도모한다. 
두 번째로 높이 쌓기의 원칙이다. 이는 창고 내에서 제품을 높게 쌓음으로써 창고의 용적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바닥에 넓게 펼쳐 보관하는 것보다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세 번째로 위치표시의 원칙이다. 제품이 자리 잡고 있는 곳에 특정한 기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적재되어있는 랙의 위치나 선반 번호 등을 표시한다. 이는 입고와 출고 작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원칙으로 작업의 단순화를 목적으로 한다. 
네 번째로 회전 대응보관의 원칙이다. 보관할 물품의 장소를 회전빈도수(회전 정도)에 따라 정하는 것으로 입고와 출하의 빈도에 따라서 장소를 결정한다. 빈도가 높으면 출입구에 가까운 곳에 보관하고 빈도가 낮으면 출입구와 먼 곳으로 보관하는 원칙이다.
다섯번째로 선입선출의 원칙이다. 선입선출은 FIFO(First In First Out)라고도 한다. 동일 제품을 출고할 때 먼저 입고된 제품을 먼저 출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원칙은 물품의 재고회전율이 중요한 물품에 적용하는 원칙이다. 농산물과 같이 수명주기가 짧은 물품이나 유리 제품과 같이 파손의 위험이 큰 상품, 목도리와 같이 Life Cycle이 짧은 시즌 상품 등에 적용한다. 
여섯번째로 명료성의 원칙이다. 작업자가 제품식별을 용이하게 하도록 보관하는 것으로 보관물의 장소나 보관된 제품을 구분하기 쉬워야 한다.
일곱번째로 동일성과 유사성의 원칙이다. 동일 제품은 같은 장소에 보관하고 유사 제품은 가까운 장소에 보관한다는 원칙으로 관리의 효율을 증대하는 원칙이다. 
여덟번째로 중량 특성의 원칙이다. 제품의 중량에 따라 보관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다. 중량물과 대형물은 하부에 보관하고 경량물과 소형물은 상부에 보관하는 원칙이다.
아홉번째로 형상 특성의 원칙이다. 제품의 형상에 따라 보관하는 것으로 포장이 표준화되어 있는 제품은 랙에 보관하고 포장이 비표준화된 것은 형상에 따라 보관하는 것이다. 
마지막 열 번째로는 네트워크(Network) 보관의 원칙이다. 관련된 제품을 한 장소에 모아 분리 및 보관하는 것으로 출하에 용이하고 물품 정리가 쉽다. 


4. 보관시스템

 

다음으로 보관 시스템의 주요 형태에 대해 알아보자. 보관시스템은 보관 품목의 수, 보관 수량, 회전율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A-A-A 형태이다. 이 형태는 보관 품목의 수는 적지만 보관 수량은 많고 회전율은 높은 품목을 말한다. 보통 식 음료류와 같은 입고와 출고가 빠른 물품으로 보관설비는 평지보관이나 주행 대차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A-A-C 형태이다. 보관 품목의 수는 적지만 보관 수량은 많고 회전율은 낮은 제품으로 불량제품 또는 계절성 제품이 있다. 세 번째로 A-C-A 형태이다. 보관 품목의 수와 보관 품목의 수는 적고 회전율이 높은 제품으로 보관 기능이 미미하다. 제품 생산의 중간 공정이나 피킹 하는 제품에 적합한 형태이다. 네 번째로 A-C-C 형태이다. 이 형태는 보관 품목의 수와 보관 수량, 회전율이 모두 낮은 제품으로 파렛트에 적재되어 쌓여있는 형태이다. 이때 하역 작업할 때에 포크가 부착된 기기를 이용하면 작업이 쉽다. 마지막으로 C-A-A 형태이다. 보관 품목의 수와 보관 수량이 많고 회전율도 높은 제품으로 관리가 복잡하다. 사람이 직접 관리하는 것보다 컴퓨터 컨트롤 방식을 이용하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고층 랙과 스태커 크레인을 사용하면 보관이 용이하다. 


5. 정리


보관은 물류 활동 측면으로 보면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흐름의 일부이다. 생산과 공급 간 시간적 효용(Time Utility)을 창출한다. 또한 적합한 시기에 생산과 공급에 참여하여 조절을 해줌으로써 원활한 생산과 판매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물품을 집산, 분류, 구분, 조합, 조립, 검사 장소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고객서비스의 접점 기능과 Link와 Link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