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매업(Wholesaling)
도매업(Wholesaling)은 판매 대상이 최종 소비자가 아니라 소매상이나 다른 도매상 등에게 판매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도매업자는 생산자를 대신하여 다수의 소매업자에게 판매하고, 소매업자를 대신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외상 판매나 할부 판매를 지원하는 금융기능을 맡고, 생산자에게 상품을 대량 구매하여 보관했다가 소매업자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재고 보관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업자를 대신하여 판매 활동을 하고 소매업자를 대신하여 상품을 매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도매업자의 유형을 구분해보면 대리인과 브로커, 제조업자 도매업자 등이 있습니다. 도매업자 유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제조업자 도매업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조업자가 직접 자사의 제품 판매하는 도매업자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판매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제조업자가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인 도매업자는 가장 전형적인 도매업자의 형태입니다. 제품을 직접 매입하여 제품에 대한 소유권을 보유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을 직접 매입하고 재고를 보유하고 판매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대리인은 위탁판매업자입니다. 제조업자의 제품을 제조업자를 대리하여 판매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로커는 제품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판매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업자와 소매상을 연결해주는 역할만 합니다. 소매상과 제조업자를 연결해주는 역할만 맡는다는 점에서 다른 도매업자들과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물류 회계
물류 회계의 목적은 물류비를 관리하여 물류 관련 비용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경영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물류비 계산은 기업의 재무제표 작성과 제품의 원가관리, 이익률 등 사업 전반적인 정보를 관리하는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물류비는 물류 활동에 들어가는 인건비와 유류비, 기타 비용 등을 계산합니다. 계산된 물류비를 통해 연간 예산 계획이나 물류 활동 등 효율적인 물류 관리가 가능합니다. 특히 물류비를 정확하게 파악한다면 제품의 원가관리, 가격 등 책정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원가 절감과 비용 절감을 위해 물류 회계는 중요한 영역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류 회계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합니다. 물류비는 “제3의 이익원”이라고 불릴 만큼 선진국에서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류비 계산은 총괄 관리자에게는 원가 자료를 제공하고 물류 관련 예산 편성, 계획에 필요한 작업입니다. 물류비 계산은 일반 기준과 간이 기준이 있습니다. 일반 기준은 관리 회계 방식으로 물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인력, 자금 등의 계획에 유용한 정보 작성을 목적으로 합니다. 물류 활동의 관리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회계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영역별, 기능별, 관리항목별로 구분하여 집계합니다. 영역별, 기능별, 관리 항목별로 계산하기 때문에 시기와 장소에 따라 필요한 방향을 명확하게 파악 가능합니다. 다만 상세한 분류나 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반면 간이 기준은 재무 회계 방식입니다. 기업의 손익상태와 재무 상태를 중심으로 물류 활동에 소비된 비용을 추정합니다. 물류비에 대한 실태 파악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세한 물류비 파악하기보다는 간단하게 추산하여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전문지식이 부족하더라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재무제표 중 제조원가명세서나 손익계산서의 ‘판매비와 관리비’를 보고 추산이 가능합니다. 재무 회계의 발생 형태별 비용 항목 중에 소비된 비용을 항목별로 추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개략적인 물류비 총액을 계산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추산이 가능합니다. 물류비의 분류방식이 일반 기준보다 간단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략 구분해보면 노무비, 운임, 감가상각비, 소모품비, 급여, 퇴직급여, 수선비, 시설부담이자, 재고 부담이자 등이 있습니다. 간이기준을 활용하는 기업 형태는 소규모 기업이나 물류 관리 담당자가 없는 기업, 시스템이 미비한 기업 등이 있습니다. 다만 상세한 명세가 추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기나 장소에 따라 필요한 계획이나 평가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류비를 과목별로 분류하여 보겠습니다. 물류비는 영역별, 기능별, 지급 형태별, 관리항목별, 세목별로 구분해보겠습니다. 물류비를 영역별로 구분해보자면 조달물류비, 사내물류비, 반품·회수·폐기 물류비, 판매물류비가 있습니다. 기능별로 구분해보면 운송비, 보관비, 포장비, 하역비 등이 있습니다. 지급 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자가 물류비, 위탁물류비가 있습니다. 세목별로 구분해보면 재료비, 노무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관리항목별로 구분해보면 제품별, 지역별, 고객별 등으로 나뉩니다. 조업도별로 나누어보면 고정물류비와 변동물류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류비 계산은 비목별로 계산한 다음 관리항목별로 계산합니다. 비목별로 계산하는 과정은 물류비 계산 대상을 확인하고 범위를 설정합니다. 물류비 대상별로 자료를 수집합니다. 물류비 배부 기준을 결정하고 영역별, 기능별, 관리항목별로 집계합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 작성 및 피드백 자료를 작성합니다.
우리나라 물류비는 대부분 운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공식적인 방식보다 기업별로 물류비 산정방식을 따라 물류비를 산정합니다.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관리사-16] 포장의 기능과 종류, 취급주의표시 (0) | 2023.04.15 |
---|---|
[물류관리사-15] 물류 합리화와 물류 표준화에 대한 이해 (0) | 2023.04.14 |
[물류관리사-13] 유통경로의 이해와 소매업의 특징 (0) | 2023.04.11 |
[물류관리사-12] 물류 조직과 물류 마케팅에 대한 이해 (0) | 2023.04.10 |
[물류관리사-11] 물류의 전략과 시스템, 최근 경향 (0) | 2023.04.09 |
댓글